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방문길이
- SQL
- 기초
- 파이선
- 해시
- 골든래빗
- 카카오코테
- 재귀
- groupby
- 코테
- SQL #프로그래머스 #조건절 #ISNULL
- 파이썬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 H-인덱스
- 코딩테스트
- SQL고득점키트
- 공식문서
- SQL #프로그래머스 #MAX #MIN
- Join
- h-index
- 프로그래머스
- Python
- 고득점키트
- level2
- 파이썬
- 분할정복
- 2단계
- 스택
- 고득점kit
- 행렬곱셈
- SQL #프로그래머스 #SELECT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6)
영아일지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 프로그래머스에 Level 0 이 생겨서 헷갈리는 함수를 정리해보았다. 1. ord 함수, chr 함수 기본 설명 1-1) ord(문자) ord(c)는 문자의 유니코드 값을 돌려주는 함수이다. ord('a')를 넣으면 정수 97을 반환합니다. 1-2) chr(정수) ord함수와 반대! chr(i)는 유니코드(Unicode) 값을 입력받아 그 코드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하는 함수이다. 인자(정수)의 유효 범위는 0 ~ 1,114,111 (16진수 0x10 FFFF) chr(97)을 하면 문자 'a'를 반환한다. for i in range(97,123): print(chr(i), end='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for i in r..